본문 바로가기
경제

안경점이 망하지 않는 이유는? | 안경점의 수익구조

by 잠시만 2025. 1. 16.

안경점이 망하지 않는 이유는?

 

 

1. 안경점의 생존 이유

 

 

  • 안경점의 존재: 동네마다 흔히 있는 안경점들은 손님이 많아 보이지 않지만, 오랫동안 장사를 지속하는 경우가 많다.
  • 생존 이유: 이러한 안경점들이 잘 망하지 않는 이유는 특정한 수입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.
  • 분석의 필요성: 동네 안경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안경점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.

 

2. 안경 시장의 성장 추세

 

 

  • 성인 환경 사용률: 2023년 기준으로 성인 환경 사용률이 **71%**로 증가하였다.
  • 시장 성장: 10년 전과 비교하여 20% 이상 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.
  • 연간 매출: 국내 안경 시장은 연간 1조 5천억 원 수준까지 성장하였다.

 

 

3. 안경 가격의 다양성

 

 

  • 안경 구매 가격: 일반적으로 가성비를 고려할 경우, 안경태는 3만 원에서 5만 원, 렌즈를 포함하면 10만 원 미만에 구매할 수 있다.
  • 브랜드 안경 가격: 브랜드 안경태는 가격이 10만 원대부터 100만 원대까지 다양하다.
  • 선호 브랜드: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는 젠틀 몬스터, 톰포드, 래쉬 안경 순이다.

 

 

4. 안경 유통 구조 설명

 

 

  • 저가 안경태 유통: 대량 생산되는 저가 안경태는 도매업체에서 세 배 마진을 남기고, 소매업체인 안경점에서도 세 배 마진을 남긴다.
    • 예시: 3,000원에 생산된 제품이 도매상에서 99,000원에 납품되고, 소비자에게는 27,000원에 판매된다.
  • 브랜드 제품 유통: 수입되는 브랜드 제품은 수입업자가 두 배 마진을 남기고, 안경점에서도 두 배 마진을 남긴다.
    • 예시: 수입업자가 10만 원에 들여온 제품이 안경점에서 20만 원에 판매되고, 소비자에게는 40만 원에 판매된다.

 

 

5. 렌즈 가격과 굴절률

 

 

  • 렌즈 가격 결정: 안경 렌즈의 가격은 압축 횟수에 따라 달라지며, 압축을 많이 할수록 가격이 올라간다.
  • 굴절률의 중요성: 렌즈의 굴절률에 따라 두께가 달라지며, 굴절률이 높은 렌즈는 고도 근시에 해당하는 경우에 사용된다.
  • 렌즈 선택 시 주의사항: 무턱대고 굴절률이 높은 렌즈를 선택하면 비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.

 

 

6. 렌즈 선택 시 주의사항

 

 

  • 렌즈 브랜드 확인: 안경 렌즈를 구매할 때는 렌즈 브랜드 봉투를 요청해야 한다.
  • 렌즈 정보 확인: 렌즈 포장지에는 렌즈 회사명, 굴절률, 도수 등이 표시되어 있어, 이를 통해 호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.
  • 렌즈 시장 점유율: 국내 안경 렌즈 시장의 점유율은 에실로, 호야, 칼 자이스가 수입산이며, 대명 과학 한미 스위스는 국내산이다.

 

 

7. 안경점의 수익 구조

 

 

  • 마진 구조: 동네 안경점은 일반적으로 안경태와 렌즈에서 세 배 마진을 붙인다.
  • 비용 구조: 안경점은 요식업과 달리 인건비가 적고, 배달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 순이익이 높다.
  • 운영 방식: 보통 안경사인 사장님 혼자 근무하며, 가격 협상 경험이 많다.

 

 

8. 안경점의 가격 협상

 

 

  • 가격 협상 경험: 안경을 구매할 때 부르는 가격에서 협상하는 경험이 일반적이다.
  • 가격 세일: 안경점에서 20%에서 50% 가격 세일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, 이는 원래 가격이 높기 때문일 수 있다.

 

 

9. 안경점의 경쟁과 시장 구조

 

 

  • 온라인 판매 금지: 국내 안경은 온라인으로 판매가 금지되어 있어 법적으로 보호받는 업종이다.
  • 자격 요건: 안경사 자격을 갖춘 사람만 창업할 수 있어 경쟁이 치열하지 않다.

 

10. 프랜차이즈 안경점의 특징

  • 정가제 도입: 다비치 안경은 정가제를 도입하여 가격을 투명하게 운영한다.
  • 매장 운영: 넓은 매장에 여러 명의 안경사를 두고 판매하는 구조이다.

 

 다비치 안경의 운영 방식

  • 자체 브랜드 런칭: 다비치는 자체 브랜드인 다운을 런칭하고 다양한 안경태를 출시하였다.
  • 도매상 역할: 본사가 도매상 역할을 하여 가격을 통제하고, 대량 구매를 통해 가격 협상력을 높인다.

 

 개인 안경점의 매출과 이익

  • 매출 계산: 20만 원짜리 안경을 한 달에 50명에게 판매하면 월 1천만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.
  • 순이익률: 약 **39%**의 순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다.

 

 안경 구매의 편리함

  • 국내 안경 가격: 국내 안경 가격은 해외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.
  • 신속한 서비스: 국내에서는 안경이 빠르면 한두 시간 만에 완성되는 경우가 많아 편리하다.

 

 결론 및 향후 계획

  • 다양한 업종 분석: 앞으로 요식업 외에도 다양한 업종을 분석할 예정이므로 많은 기대가 필요하다.